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국제北 미사일 발사 이후

라이스 “北에 분명한 메시지 보내야”

오애리 기자
오애리 기자
  • 입력 2012-12-13 13:45
댓글 폰트

photo


12일 소집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AP통신 등의 보도에 따르면, 수전 라이스 미국 유엔대사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이 이번 미사일 발사를 어떻게 표현하든 간에 안보리 결의안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며 국제적 의무를 무시하고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추구하겠다는 의미”라고 비난했다. 라이스 대사는 “안보리 회원국들은 북한에 유엔 결의안 위반이란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약 2시간에 걸친 비공개 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한국, 일본을 비롯해 기타 국제사회와 협력해 적절한 대응책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12일 안보리 회의에서는 제라르 아로 프랑스 대사, 마크 라이얼 그랜트 영국 대사, 페터 비티그 독일 대사가 북한의 이번 도발에 대해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기도 했다. 안보리 12월 순번제 의장인 무함마드 룰리치키(사진) 유엔 주재 모로코 대사 역시 회의가 끝난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와 1874호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면서 안보리 회원국들이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 소식통들은 안보리가 앞으로 한두 차례 더 전체회의를 거친 뒤 다음주 초 또는 중반쯤 구체적인 결과물을 내놓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12일 회의에서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의 리바오둥(李保東) 대사가 어떤 발언을 했는지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AP통신은 리 대사가 회의장을 나서면서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고 자리를 떠났다고 전했다. 김숙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는 이날 한국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자체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우려를 우선하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지난 4월의 의장성명보다 안보리 조치의 수위가 높아질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선 “미국이 주도적으로 안보리 이사국들과 협의해 나갈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목표는 공개할 수 없다”고 답했다. 12일 안보리 의장성명이 지난 4월의 ‘개탄(deplore)’이란 단어 대신 ‘규탄(condemn)’을 사용하고 추가 제재를 경고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오애리 선임기자 aeri@munhwa.com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em class='label'>[속보]</em>국힘 지지층 58% ‘3년 임기단축 개헌 찬성’…전체는 50%가 ‘반대’-한국갤럽 긴급조사
[속보]국힘 지지층 58% ‘3년 임기단축 개헌 찬성’…전체는 50%가 ‘반대’-한국갤럽 긴급조사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해 2028년에 대선과 총선을 동시에 치르는 개헌안을 두고 국민의힘 지지층의 58%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는 50%가 반대했다. 찬성은 39%였다.한국갤럽이 서울경제신문의 의뢰로 이달 4~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 지지자의 경우 58%가 임기 단축에 찬성했다. 반대는 31%였다. 개혁신당 지지자 역시 65%가 찬성한 반면 반대는 31%였다. 무당층에서도 찬성(45%)이 반대(38%)보다 높았다.반면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자는 각각 68%와 64%가 개헌에 반대했다. 찬성은 각각 24%와 31%에 그쳤다. 보수 정당을 지지하거나 지지하는 정당이 없으면 차기 대통령의 임기 단축에 찬성하고 진보 정당을 지지하면 반대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지금까지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이 개헌에 적극적이었던 영향을 받은 데다 만약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선되더라도 ‘이재명 정부’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개헌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정치 성향별 조사에서도 유사하게 집계됐다. 보수 성향 응답자는 개헌 찬성이 51%로 반대(40%)보다 11%포인트 높았다. 그러나 진보 성향 응답자는 개헌 반대가 67%에 달해 찬성(26%)의 2배 이상이었다. 자신을 중도 성향이라고 밝힌 응답자는 반대 51%, 찬성 39%였다.연령과 지역별 조사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됐다. 국민의힘 핵심 지지층인 70세 이상과 60대에서 개헌 찬성이 각각 51%와 47%로 조사돼 전 연령 중 가장 찬성 비율이 더 높았다. 반대로 민주당 핵심 지지층인 40대와 50대에서는 개헌 반대가 각각 66%와 61%였다.지역별로는 강원(58%)과 부산·울산·경남(46%)에서 개헌 찬성이 더 많았다. 그러나 제주(71%)와 대전·세종·충청(54%), 광주·전라(53%)에서는 개헌 반대 비율이 더 높았다.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유무선 전화 번호를 활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9.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임정환 기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