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정치

김포·구리·하남·광명 절반 이상 “서울편입 총선에 영향줄 것”

이해완 기자
이해완 기자
  • 입력 2023-12-04 11:52
  • 수정 2023-12-04 11:56
댓글 폰트

photo



■ 문화일보·케이스탯 서울편입 여론조사 - 총선 표심 어디로

김포31%·구리31%·하남27%
“편입 찬성 후보 지지하겠다”
“반대 후보 찍겠다”보다 높아
광명은 찬성-반대 18% 동률

“이슈-후보지지 관계없다”도
4개 도시 모두서 절반 넘어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서울시로 편입하는 데 찬성하는 총선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라는 응답이 반대하는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라는 응답보다 높게 나온, 경기 김포시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김포에 이어 서울시 편입이 거론되는 구리·하남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단, 광명까지 네 개 지역 모두 서울시 편입 찬반 여부와 총선 후보 지지 여부는 관계없다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다.

4일 문화일보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일 경기 광명·구리·김포·하남시 18세 이상 남녀 2009명(광명 500명·구리 508명·김포 501명·하남 500명)을 상대로 시행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김포 주민의 경우 ‘서울 편입 찬성 총선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란 응답이 31%로, ‘서울 편입 반대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란 응답 14%보다 17%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결과는 다른 도시에서도 비슷하게 나왔다. 구리와 하남 주민도 서울 편입 찬성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란 응답이 각각 31%와 27%로, 반대하는 후보를 지지할 것이란 응답(각각 8%, 14%)보다 각각 23%포인트와 13%포인트 높게 집계됐다. 다만, 광명의 경우 서울 편입 찬성 후보 지지와 반대하는 후보 지지가 각각 18%로 호각세를 이뤘다. 이 같은 결과는 서울시 편입에 대해 찬성하는 응답이 과반인 상황과 맞물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이 서울 인근 중소 도시에 대한 서울시 편입 공약을 구체화해 밀어붙일 경우 총선에서 적지 않은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이념 성향이 중도라고 밝힌 응답자 중 구리에서는 찬성하는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라는 응답이 24%로 반대하는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라는 응답(9%)보다 높게 조사됐다.

김포(23% 대 17%), 하남(24% 대 17%)에서도 중도 성향 응답자 중 찬성하는 후보에게 표를 줄 것이라는 응답이 다소 높았다. 단 네 지역 모두 서울시 편입 이슈가 후보 지지와는 관계없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서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서울 편입 이슈가 내년 총선에 영향을 줄 것 같냐는 질문에 ‘영향을 줄 것’이란 응답률이 과반으로 나타났다. 김포에서는 총선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응답이 48%에 달했다. 매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도 19%로 조사됐다. 구리와 하남에서도 중소도시의 서울시 편입 이슈가 내년 총선에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65%로 나타났다. 구리에서는 매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22%였다.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이 낮은 광명에서도 54%로 영향이 없을 것(44%)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인이 거주하는 도시의 서울시 편입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찬성했지만, 정작 국민의힘이 추진하는 서울시 편입과 메가시티 정책에 대해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표를 얻기 위해 급조한 부적절한 정책’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정책에 대한 판단과 별개로 서울시 편입이 서울 인근 중소도시 거주민들의 ‘욕구’를 반영하는 정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포는 총선용으로 급조한 정책이라는 응답이 58%로 ‘지역 주민의 오랜 요구를 반영해 결정한 적절한 정책’이라는 응답(37%)보다 높았다. 광명에서는 급조한 정책이라는 응답이 70%에 달했고, 하남과 구리도 각각 60%와 53%로 적절한 정책이라는 응답(35%, 42%)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해완 기자 parasa@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조사는 문화일보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월 1일부터 2일까지 양일간 이뤄졌다. 경기 김포·광명·구리·하남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로 실시했다. 표본의 크기는 김포 501명, 광명·하남 500명, 구리 508명이고 응답률은 각각 김포 20.4%, 광명 15.4%, 구리 15.4%, 하남은 16.5%다.

2023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으며 표본오차는 김포·광명·하남은 95% 신뢰 수준에서 ±4.4%포인트, 구리는 95% 신뢰 수준에서 ±4.3%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친명좌장’ 정성호 “정형식, 조한창, 김복형에 죄송하다” 이유는?
‘친명좌장’ 정성호 “정형식, 조한창, 김복형에 죄송하다” 이유는? ‘친명좌장’이라 불리는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인용한 직후 “정형식, 조한창, 김복형 재판관의 용기와 결단에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마음과 함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전한다”라고 밝혔다.5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 의원은 4월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111일 동안 상상할 수 없는 압박과 근거 없는 비난 속에서도 법률가로서의 양심을 굽히지 않고 헌법수호자로서의 소명을 다해주셨다”라면서 “오늘 대한민국 헌법과 민주주의의 승리는 그분들의 신념과 결단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썼다.헌법재판소는 전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의 선고기일을 열고 재판관 8인의 전원 일치된 의견으로 윤 전 대통령을 파면했다. 다만, 헌재가 지난 2월 25일 최후변론을 마친 뒤 38일이란 장고에 들어가면서 일각에선 보수 성향의 정형식, 조한창, 김복형 재판관이 탄핵 기각 또는 각하 의견을 내고 있다는 루머가 돌았다.정 의원은 헌재 결정을 두고 “국민이 부여한 권력을 오만하게 남용한 자는 누구든 반드시 심판받는다는 준엄한 진리를 다시금 확인했다”라며 “우리 민주주의가 얼마나 단단하고 강한지, 우리 헌정 질서가 얼마나 굳건한지 증명했다”라고 평가했다.이어 “과거에도, 현재에도, 그리고 미래에도 불의한 권력은 결코 국민을 이길 수 없다”라면서 “국민의 힘으로 지켜온 민주주의를 권력의 사유물로 만들려는 그 어떤 시도도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김무연 기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