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국제

‘격투기’하자던 머스크·저커버그 드디어 만났다…그러나 ‘현피’는 없었다

황혜진 기자
황혜진 기자
  • 입력 2023-09-14 10:33
  • 수정 2023-09-14 16:23
댓글 폰트

photo 일론 머스크(왼쪽) 테슬라 CEO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격투기 대결’을 예고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만났지만 현피(현실에서 만나 싸움을 벌인다는 뜻의 은어)는 없었다. 두 CEO는 검투복 대신 양복을 입고 미국 의회에서 주최한 회의에서 만나 인공지능(AI) 규제 방향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1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두 CEO는 이날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가 비공개로 개최한 ‘AI 인사이트 포럼’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사티아 나델라 MS CEO 등 다른 빅테크 대표들도 대거 참석했다.

photo 13일 ‘AI 인사이트 포럼’에 모인 빅테크 총수들. AFP 연합뉴스


photo 13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AI 인사이트 포럼’에 참석한 빅테크 총수들이 앉아있다. AFP 연합뉴스



머스크 CEO와 저커버그 CEO는 격투기 대결 시사 이후 처음으로 조우한 것이다. 이날 회의장 중앙의 긴 테이블에는 20여 명의 테크 리더들, 정부 관계자들로 북적였는데 머스크 CEO와 저커버그 CEO는 단상 반대편 끝에 멀리 떨어져 앉았다. WP는 이번 회의를 두고 “테크 총수들을 한 자리에 모은 전례 없는 회의”라고 평가했다.

머스크 CEO는 이날 회의에서 AI를 “양날의 칼”이라고 부르며 “엄청난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동시에 문명에 대한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 참석자를 인용해 미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그는 오전 회의를 마치고 의회를 나오면서 “AI가 잘못될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해 사전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AI 담당 부서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커버그 CEO는 AI 프로그램을 ‘오픈 소스’로 만드는 것이 악용될 수 있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오픈 소스는 도구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한다”며 “경쟁의 장을 평준화하고 사람과 기업의 혁신을 촉진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메타는 AI 기반의 새로운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를 기업들이 무료로 이용하게끔 오픈소스로 공개할 전망이다.



슈머 원내대표에 따르면 그는 정부가 AI를 규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지 물었고, 참석한 모든 사람이 손을 들었다.슈머 원내 대표는 몇 달 안에 법안 통과를 향해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회의는 긴장감이 있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황혜진 기자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