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8일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의 ‘최종 수혜자’로 지목된 송영길 전 대표 “전당대회(에서) 논란이 된 돈은 국가 돈도 아닌 개인 돈이고 큰 액수도 아니다”고 한 발언이 뒤늦게 알려졌다. 검찰은 송 전 대표가 지난 4월 귀국 전후 주변에 본인 사건 담당 부장검사 등에 대한 성향을 묻고 다니는 등 수사 상황을 파악하려고 한 정황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15일 문화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송 전 대표가 지난 6월 유튜브인 ‘김성수TV 성수대로’에 출연해 “왜 (검찰이) 현역 국회의원을(수사하냐). 자기들 주장대로 돈이 큰 액수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6월 7일에 촬영된 해당 영상에서 송 전 대표는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었다. 해당 발언을 두고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당 대표 선거에서 돈을 살포해 매표행위를 한 중대한 범죄를 저질렀는데 정작 최종 수혜자인 송 전 대표는 왜 문제냐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라고 꼬집었다. 검찰은 송 전 대표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돈봉투 살포와 관련, “헌법이 강조하는 정당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중대 범죄”라고 밝혔다. 송 전 대표는 6000만 원 돈봉투 조성 공모, 7억 원대 불법 정치자금 수수, 4000만 원 뇌물 수수 혐의 등으로 오는 18일 구속영장실질심사를 받을 예정이다.
검찰은 송 전 대표가 귀국 전후 휴대전화 등을 이용해 본인 사건 담당 부장검사의 성향을 파악하는 등 수사 상황을 확인하려 했다는 정황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법조인 출신인 송 전 대표가 주변에 담당 부장검사 성향 등을 묻고 다녔다는 것이다. 검찰은 송 전 대표가 수사 상황을 파악하려고 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송 전 대표는 4월 파리에서 귀국하기 전 기존 휴대전화를 폐기하고, 외곽 지지조직 인 ‘평화와 먹고사는 문제 연구소’(먹사연)는 하드디스크도 교체해 증거를 조직적으로 인멸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염유섭·강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