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정치

이준석 “비대위원장되면 110~120석 자신”

임정환 기자
임정환 기자
  • 입력 2023-11-17 10:29
  • 수정 2023-11-17 13:49
댓글 폰트

photo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뉴시스



윤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패배의 책임 물어
“‘후보 내가 냈습니까’ 말하고 싶었다”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는 16일 “만약에 내일 제가 어떤 일을 해서 그런 (비대위원장) 역할을 맡게 된다면, 전권을 맡게 된다면 저는 110석, 120석 할 자신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저한테는 솔직히 지난번에 지방선거 12대 6으로 역대 타이기록을 세웠다. 그런데도 공격이 세게 들어왔다. 당장 대통령께서는 저한테 경기도지사 패배의 책임을 물으셨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해 “독대하는데 그렇게 말씀하셨다. ‘이번에 저희 경기도지사 져서 굉장히 기분이 안 좋습니다’ 그러셨다”며 “제가 속으로 얼마나 속이 탔겠나. ‘경기도지사 후보 내가 냈습니까’라고 말하고 싶은 게 굴뚝이었다”고 말했다.



또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김은혜 홍보수석을 도왔던 것을 언급하며 “1년 반동안 저한테 집단린치하고 했던 거 이런 것들을 언론에 안 밝혀서 그렇지 책을 쓰면 진짜 재미있는 책이 될 것”이라며 “나중에 윤석열 정부가 안 좋아지면 제가 책을 쓰겠다”고 밝혔다.

신당 창당에 대해선 “내일부터 갑자기 윤석열 대통령이 정신을 바꾸셔서 갑자기 홍범도 흉상 이전 철회하고, 박정훈 대령에 대해서 억울한 일 풀어주고, 거기에 더해서 ‘앞으로는 이념 같은 거 안 내세우겠다’, 그리고 ‘이태원 유가족들 다 와서 용산에서 만나서 제가 정말 얘기를 하겠다’ 이렇게 해버리면 이준석이 마음이 풀리고 말고와 관계없이 신당 명분이 없다”고 말했다.

임정환 기자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탄핵찬반, 박근혜 ‘8대 2’ 윤석열 ‘6대 4’… 불복 우려 커졌다
탄핵찬반, 박근혜 ‘8대 2’ 윤석열 ‘6대 4’… 불복 우려 커졌다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가운데 탄핵 찬반 여론이 8년 전인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보다 더 분열돼 있어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불복 우려가 커지고 있다.2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찬반 여론은 헌재의 탄핵 결정이 이뤄진 2017년 3월 10일까지 꾸준히 8대 2 구도를 그렸다. 헌재의 탄핵 결정 전 마지막 조사였던 2017년 3월 1주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응답자 77%가 찬성했고, 18%가 반대했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 표결 직전인 2016년 12월 2주 조사에서도 찬성은 81%, 반대는 14%였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의 시작점과 끝점 사이에 조사가 이뤄진 2017년 2월 2주에도 탄핵 찬성 응답은 79%, 반대는 15%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사회 분위기가 박 전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는 쪽으로 크게 기울었던 셈이다. 그런 만큼 탄핵 선고를 둘러싼 사회 분열과 혼란은 크지 않았다. 헌재가 탄핵을 결정한 이후에도 ‘대체적으로 동의할 수 있는 결정’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하지만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한 찬반 여론은 ‘12·3 비상계엄 사태’ 직후 8대 2 구도를 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며 점차 6대 4로 굳어졌다. 탄핵에 찬성하는 목소리가 점점 줄어들고 반대하는 응답자가 많아지며 찬반 여론의 격차가 좁혀지며 분열이 심화한 것이다.비상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 2주 조사에서 응답자 75%는 윤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고 답했다. 탄핵에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21%였다. 이후 한 달 새 탄핵에 찬성한다는 목소리는 11%포인트 줄었다. 올해 1월 2주 조사에서 탄핵 찬성 응답자는 64%였다. 탄핵 반대 비율은 딱 그만큼 높아져 32%를 나타냈다. 이후 찬반 여론은 소폭의 등락만 반복하며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가장 최근인 3월 4주 조사에서는 탄핵에 찬성한다는 응답자가 60%, 반대한다는 응답자가 34%로 나타났다. 민정혜 기자 leaf@munhwa.c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