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시, 오늘 방한 박진 등 면담
한국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오염처리수 방류 계획의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국제기준에 부합한다”고 발표하며 “이상 상황 발생 시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NRA)와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 간 신속한 통보 및 공유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7일 밝혔다.
유국희 원안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일본의 오염처리수 처리계획을 검토한 내용을 발표하며 “배출기준과 목표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측정값 등 일본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겠다”고 향후 일본의 계획 이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기술검토팀은 계속 유지하면서 과학 기술적 검토 및 확인 작업을 지속 수행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 위원장은 이어 “1994년부터 수행해 온 해양 방사능 감시를 200개소로 확대해 방사능 농도를 보다 촘촘히 측정·공개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현재 해양수산부에서 운영하는 52개소를 127개소로, 원안위의 40개소를 73개로 각각 늘린다는 방안이다.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검증 과정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할 방침이다.
정부의 자체 검토 결과, 일본의 방류 계획은 방사성 물질의 총 농도가 해양 배출기준을 충족하고, 삼중수소의 경우 더 낮은 수준의 목표치를 달성해 IAEA 등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결과, 방류된 오염처리수가 우리 해역에 유입돼 영향을 미치는 시기는 4∼5년 후에서 길면 10년 후이고, 삼중수소 등 방사능 영향은 국내 해역 평균 농도의 10만 분의 1 미만이라는 설명이다. 이날 발표된 자체 보고서는 앞서 나온 IAEA 보고서와는 별개다. 정부는 2021년 8월부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주도로 후쿠시마 오염처리수 방류의 안전성을 점검해왔다.
한편 일본을 방문 중인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이날 늦은 밤 한국으로 입국한다. 9일까지 한국에 머무는 그로시 사무총장은 8일 유 위원장·박진 외교부 장관 등을 만나 보고서 내용을 설명할 예정이다.
조재연·김유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