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정치대선 D-19 여론조사

망설이는 영남보수… 전략투표냐, 소신지지냐

김윤희 기자
김윤희 기자
  • 입력 2017-04-20 11:48
댓글 폰트
TK·PK 文 - 安 30%대 지지속
‘洪 + 劉’ 선택 여전히 20%안팎


역대 대선에서 보수 유력 후보에게 예외 없이 표를 몰아줬던 대구·경북(TK) 표심이 19대 대선에서는 마땅한 후보를 찾지 못한 채 이리저리 표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당선 가능성이 큰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에 대한 전략적 선택을 고민하면서도, 자신들과 정체성을 같이하는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후보에 대한 미련도 여전히 버리지 못하는 양상이다.

20일 문화일보 대선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안 후보는 TK 지역에서 33.9%,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30.2%의 지지를 얻어 팽팽한 양강구도를 이뤘다. 지난달 23일 본보의 영남 지역 여론조사에서 21.1%로 2위에 머물던 안 후보가 문 후보(26.5%)를 제치고 1위로 올라온 것이다.

그렇다고 보수 후보에 대한 지지를 거두고 안 후보로 표심을 몰아준 것도 아니다. 홍준표 한국당 후보 지지율은 15.1%,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4.8%였으며,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한 조원진 의원도 2.9%였다.

부산·경남(PK)에서도 문 후보가 33.5%, 안 후보가 32%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이뤘고, 홍 후보 18.8%, 심상정 정의당 후보 4.5%, 유 후보 1.9%였다. 지난 조사에서 39.7%를 기록했던 문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해 대세론이 깨졌고, 16.9%였던 안 후보가 문 후보의 턱밑까지 치고 올라왔다. 홍 후보는 20.1%에서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20%에 근접한 지지를 얻고 있다.

TK와 PK에서 두드러진 안 후보의 강세는 이 지역 보수층이 홍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낮게 보고 문 후보와 양강 구도를 이룬 안 후보를 밀어주는 이른바 ‘전략적 선택’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후보들의 당선 가능성을 물었더니 TK 유권자들의 5%, PK의 6.2%만이 홍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대답했다. 반면 안 후보에 대한 당선 가능성은 TK에서 27.3%, PK에서 22.5%로 홍 후보보다 높았다. 그런데도 보수 후보들의 지지율이 여전히 공고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보수 유권자들이 투표 당일 역대 대선 관례대로 보수정당으로 돌아서거나 기권할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안희정 충남지사 등을 중심으로 결집했던 충청권 중도·보수층도 이렇다 할만한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전·세종·충청권에서 41.2%가 안 후보를, 30.1%가 문 후보를 지지했으며, 홍 후보와 유 후보의 지지율은 9.1%, 4.4%에 그쳤다.

김윤희 기자 worm@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조사기관 : 엠브레인 △일시 : 2017년 4월 18∼19일 △대상 : 2017년 4월 현재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유선 31.3%, 무선 68.7%) △표본 : 1054명 △피조사자 선정방법 :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유·무선 임의전화걸기(RDD) △응답률 : 14.5% △오차 보정방법 : 2017년 3월 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가중치 부여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용 : 차기 대통령선거 후보 지지도 등(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장성민 “민주당 내부서도 기각 기정 사실화…이유는 6가지”
장성민 “민주당 내부서도 기각 기정 사실화…이유는 6가지”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예정된 가운데 옛 민주당 출신이자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출신인 장성민 전 의원은 2일‘민주당내 비명계와 일부 친명계가 꼽은 각하 또는 기각 이유 6가지’라는 글을 통해 이같이 민주당 내 상황을 전했다.장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 쪽 내부 분위기는 상당수가 기각 또는 각하 쪽의 흐름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라며 “겉으로 강력한 탄핵을 주장하면서 헌재와 행정부를 동시에 압박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당내부에서는 이미 기각 또는 각하되는 것을 인지한 분위기가 역력하다”라고 주장했다.그는 “헌재와 국무내각을 탄핵하겠다고 협박한 것 자체가 위기의식의 발로”라면서 “민주당의 비명계 한 의원은 친명 중진들 일부도 이런 사정에 공감하고 있다면서 각하 또는 기각의 이유를 6가지로 꼽았다”라고 전했다.6가지 이유는 △탄핵소추 사유로 내란죄를 뺀 것이 치명적 실수였다는 ‘자책론’ △내란죄를 뺐으면서 속히 탄핵 재의결을 통해 절차적 정당성의 결정적 오류를 제거하지 않은 ‘오판론’ △마은혁 조기 투입의 실패와 문형배, 이미선에 대한 지나친 ‘과신론’ △서둘러 한덕수 권한대행을 탄핵한 전략적 ‘실수론’ △성급한 탄핵 진행으로 내란수사권 없는 공수처에 불법수사를 의뢰한 ‘불법재판론’ △박찬대 원내대표가 세 명의 헌법재판관을 을사오적으로 공격해 헌재 전체를 ‘적대화’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헌재에 대한 과도한 공격이 정치적 올바름(PC)과 어긋난다는 여론을 키웠고, 산불재난, 경제 비상시국에 또다시 한덕수 권한대행, 최상목 부총리를 동시 탄핵하겠다는 압박카드가 여론을 등지게 한 점 등이라는 당내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라고 덧붙였다.장 전 의원은 “결국 당 지도부가 이렇게 초조하고 다급한 입장을 보인 배경에는 당내 상당수 의원들도 각하 또는 기각일 것이라는 입장 때문”이라며 “이런 당내기류에 이 대표는 매우 초조하고 숨 가쁜 모습이다. 광화문 천막당사 최고위원회의에서 시정잡배들이나 할 법한 내란선동성 발언을 토하고 있다”라고 직격했다.그는 “국민은 지금 전과 4범 이재명의 초조한 ‘발악정치’를 관람 중”이라며 “이 대표가 지금 쳐야 할 천막당사는 내란탄핵을 위한 광화문 사거리가 아니라 모든 삶의 터전이 화마에 휩쓸려 검은 잿더미로 변해버린 산불재난 현장이 아닐까”라고 비꼬았다.김무연 기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