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정치대선 D-19 여론조사

차기 대통령 중점 과제, 경제활성화 - 부패 척결- 안보 順

이근평 기자
이근평 기자
  • 입력 2017-04-20 11:41
댓글 폰트

photo


보수 성향, 안보 1순위로 꼽아
“법인세 인상해야 한다” 60.4%
정부 주도 고용창출 贊 56.6%


20일 문화일보 대선 여론조사 결과, ‘5·9’ 대선에서 뽑힌 차기 대통령의 국정 운영 최우선 과제는 경제활성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위기설이 고조되고 있지만, 안보 문제보다 부정부패 척결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창출은 민간이 주도하는 것보다 정부가 예산 등을 투입해 공공부문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이 중점적으로 해결해야 할 국정 과제로, 경제활성화를 꼽은 응답이 2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정부패 척결(19.7%), 안보 문제(16.2%), 사회갈등 해소 및 국민통합(12.1%), 복지확대 및 빈부격차 해소(11.5%) 순으로 조사됐다. 남북관계 및 주변국 외교와 개헌을 포함한 정치개혁을 선택한 응답자는 각각 6.8%, 6.2%였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보수층 응답자의 30.0%는 안보를, 진보층 응답자의 25.6%는 부정부패 척결을 꼽았다. 중도 성향 응답자의 24.3%는 경제활성화를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지지 후보별로 보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지지층 중 가장 높은 비율인 31.1%가 부정부패 척결을 우선순위로 꼽았고,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지지층에선 다수를 차지하는 29.2%가 경제활성화를 주요 과제로 선택했다.

차기 정부의 법인세 인상에 대해서는 찬성(60.4%)이 반대(28.0%)를 압도하면서 이념 성향을 불문하고 찬성 의견이 많았다. 진보 성향 응답자 중 71.5%가 법인세 인상에 찬성했고, 중도 성향 응답자의 67.7% 역시 인상에 동의했다. 보수 성향 응답자에서도 찬성(45.5%)이 반대(42.1%)보다 많았다. 지지 후보별로 구분하면 찬성 의견은 문 후보 지지층(75.1%)이 안 후보 지지층(56.9%)보다 높게 나타났다.



차기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과 관련, ‘기업에만 맡기지 말고,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공공부문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응답은 56.6%였다. ‘일자리 창출은 기업에 맡기고, 정부는 지원하는 역할에 그쳐야 한다’는 응답(39.8%)보다 많았다. 문 후보 지지층의 74.0%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 지지층의 61.2%는 정부 주도의 일자리 창출 필요성에 공감한 반면, 안 후보 지지층 53.5%,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지지층 62.9%는 정부의 보조적 역할을 선호하는 등 지지 후보별로 온도 차를 보였다.

이근평 기자 istandby4u@munhwa.com


■ 어떻게 조사했나

△조사기관 : 엠브레인 △일시 : 2017년 4월 18∼19일 △대상 : 2017년 4월 현재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조사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유선 31.3%, 무선 68.7%) △표본 : 1054명 △피조사자 선정방법 :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유·무선 임의전화걸기(RDD) △응답률 : 14.5% △오차 보정방법 : 2017년 3월 말 행정자치부 발표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가중치 부여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 ±3.1%포인트 △내용 : 차기 대통령선거 후보 지지도 등(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장성민 “민주당 내부서도 기각 기정 사실화…이유는 6가지”
장성민 “민주당 내부서도 기각 기정 사실화…이유는 6가지”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예정된 가운데 옛 민주당 출신이자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출신인 장성민 전 의원은 2일‘민주당내 비명계와 일부 친명계가 꼽은 각하 또는 기각 이유 6가지’라는 글을 통해 이같이 민주당 내 상황을 전했다.장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 쪽 내부 분위기는 상당수가 기각 또는 각하 쪽의 흐름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라며 “겉으로 강력한 탄핵을 주장하면서 헌재와 행정부를 동시에 압박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당내부에서는 이미 기각 또는 각하되는 것을 인지한 분위기가 역력하다”라고 주장했다.그는 “헌재와 국무내각을 탄핵하겠다고 협박한 것 자체가 위기의식의 발로”라면서 “민주당의 비명계 한 의원은 친명 중진들 일부도 이런 사정에 공감하고 있다면서 각하 또는 기각의 이유를 6가지로 꼽았다”라고 전했다.6가지 이유는 △탄핵소추 사유로 내란죄를 뺀 것이 치명적 실수였다는 ‘자책론’ △내란죄를 뺐으면서 속히 탄핵 재의결을 통해 절차적 정당성의 결정적 오류를 제거하지 않은 ‘오판론’ △마은혁 조기 투입의 실패와 문형배, 이미선에 대한 지나친 ‘과신론’ △서둘러 한덕수 권한대행을 탄핵한 전략적 ‘실수론’ △성급한 탄핵 진행으로 내란수사권 없는 공수처에 불법수사를 의뢰한 ‘불법재판론’ △박찬대 원내대표가 세 명의 헌법재판관을 을사오적으로 공격해 헌재 전체를 ‘적대화’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헌재에 대한 과도한 공격이 정치적 올바름(PC)과 어긋난다는 여론을 키웠고, 산불재난, 경제 비상시국에 또다시 한덕수 권한대행, 최상목 부총리를 동시 탄핵하겠다는 압박카드가 여론을 등지게 한 점 등이라는 당내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라고 덧붙였다.장 전 의원은 “결국 당 지도부가 이렇게 초조하고 다급한 입장을 보인 배경에는 당내 상당수 의원들도 각하 또는 기각일 것이라는 입장 때문”이라며 “이런 당내기류에 이 대표는 매우 초조하고 숨 가쁜 모습이다. 광화문 천막당사 최고위원회의에서 시정잡배들이나 할 법한 내란선동성 발언을 토하고 있다”라고 직격했다.그는 “국민은 지금 전과 4범 이재명의 초조한 ‘발악정치’를 관람 중”이라며 “이 대표가 지금 쳐야 할 천막당사는 내란탄핵을 위한 광화문 사거리가 아니라 모든 삶의 터전이 화마에 휩쓸려 검은 잿더미로 변해버린 산불재난 현장이 아닐까”라고 비꼬았다.김무연 기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