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경제

보험사 재정건전성 악화… 지급여력비율 8.6%P 하락

박정경 기자
박정경 기자
  • 입력 2024-07-12 11:41
  • 수정 2024-07-12 11:49
댓글 폰트
3월말 기준 223.6% 기록
주식·운영 리스크 증가 탓


보험사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이 전분기 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리스크 증가와 새 회계제도 영향으로 보험사의 요구자본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3월 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은 223.6%로 전분기 대비 8.6%포인트 하락했다. 생명보험사는 222.8%로 전분기보다 10.0%포인트 떨어졌고 같은 기간 손해보험사는 224.7%로 6.7%포인트 떨어졌다. 지급여력비율은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보험사의 요구자본이 가용자본보다 더 많이 증가하면서 악화했다.

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이 떨어진 것은 주식 위험 등 시장 리스크가 증가하고 올해 3월 기초가정위험액 시행에 따라 운영 리스크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금융당국은 운영 리스크 하위 위험으로 실제 보험금 등이 예상보다 늘어날 가능성에 대비해 자본 적립 기준을 마련, 3월부터 시행 중이다. 이 기간 경과조치 후 지급여력비율 가용자본은 262조20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6000억 원 증가했지만, 요구자본이 117조2000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4조6000억 원 증가하면서 관련 비율이 하락했다.



보험업계 ‘빅3’인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의 경우 올 3월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이 212.8%, 173.1%, 238.9%로 전분기보다 각각 6.0%포인트, 10.7%포인트, 26.4%포인트 떨어졌다. KDB생명(129.2%)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MG손해보험(52.1%)은 당국의 권고치인 150%를 크게 밑돌았다.

박정경 기자 verite@munhwa.com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