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경제

선진국은 교육감 임용 어떻게

최준영 기자
최준영 기자
  • 입력 2014-12-11 13:49
댓글 폰트
美, 38개 주선 임명제-12개 주선 직선제
英·日, 중앙 교육장관 협의 또는 승인거쳐


주요 교육선진국들은 각국의 실정에 알맞게 다양한 교육감 선출제를 운용해 부작용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주별로 임명제(38개 주)와 직선제(12개 주) 등 다양한 선출제도가 동시에 운용되고 있다.

실제 일리노이 등 23개 주에서는 주 교육위원회가, 텍사스 등 15개 주에서는 주지사가 교육감을 임명한다. 애리조나 등 12개 주에서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하고 있으며, 이 중 7개 주에서는 후보자의 정당표시제가 허용되고 있다. 직선에 의한 주 교육감 선거는 주의회 선거와 동시에 시행하며 주의회 선거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다.



영국은 교육위원회가 중앙정부의 교육과학부장관과의 협의를 거쳐 교육감을 임명하고 있다.

일본은 교육행정체계가 중앙정부의 문부성, 지방의 도도부현(都道府縣·광역단위)과 시정촌(市町村·기초단위)의 삼중 구조로 돼 있다. 특히 도도부현 교육장의 경우 문부성 대신의 승인을 얻어 도도부현 교육위원회가 당회 교육위원들 중에서 임명하고 있다. 시정촌 교육장은 도도부현 교육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시정촌 교육위원회가 당회 교육위원들 중에서 임명한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트럼프, 한덕수에게 “대선 나갈 건가” 물었다…한덕수 대답은?
트럼프, 한덕수에게 “대선 나갈 건가” 물었다…한덕수 대답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 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첫 통화에서 대선 출마 의향을 직접 물어본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 국민의힘은 곧장 대선 체제로 전환해 10여 명의 주자가 출마를 저울질 중이지만 아직 뚜렷한 1강 후보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수 진영 내 ‘한덕수 대선 차출론’이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10일 중앙일보는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가 통화 중 한 대행에게 대선에 나갈 것인지 물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한 대행은 “여러 요구와 상황이 있어서 고민 중이다. 결정한 것은 없다”는 취지로 말하며 즉답을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소식통은 “특정 선택지에 무게를 두기보다는 대화를 매끄럽게 이어나가는 수준에서 짧게 문답이 오갔다”고 설명했다.최근 보수 진영에서 ‘한덕수 차출론’이 나오는 미묘한 시점에서 나온 대화여서 더욱 주목된다. 특히 보수 진영에서는 주미 대사를 지낸 경제 관료 출신의 한 대행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확실한 대항마로 판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보수 유력 인사 중 흔치 않은 호남 출신이란 점도 한 대행의 경쟁력으로 평가된다. 개헌 국면에서 ‘관리형 대통령’으로 적합하다는 평가도 있다.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를 ‘출마 기획’의 일환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한 대행이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통화→CNN 인터뷰’를 연달아 소화하며 대선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의미다. 물밑에서 한 대행을 설득 중인 한 의원은 “현재 10여 명의 현역 의원이 한 대행이 출마할 경우 돕기로 한 상태”라고 전했다.다만 한 대행은 최근 총리실 간부를 만난 자리에선 “대선의 ‘ㄷ’자도 꺼내지 말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출마설에 선을 그은 발언이다. 이에 대해 정치권 관계자는 “대선 출마라는 게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지지층의 바람에 따라 떠밀려가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임정환 기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