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사회용산 참사

“전철聯, 철거민에 투쟁 방법·지침 교육”

장석범 기자
장석범 기자
  • 입력 2009-01-21 13:51
댓글 폰트

photo 서울지방경찰청 과학수사센터 소속 감식 요원들이 21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N빌딩 ‘용산 참사’ 현장을 찾아 감식을 벌이고 있다. 김선규기자


용산 참사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철거민 농성자들이 용산에서 점거시위에 앞서 망루설치 방법을 배우고 예행연습까지 했다는 진술을 확보하면서 수사가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이는 철거민들이 조직적으로 화염병시위·농성을 벌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예행연습 과정에서 전국철거민연합(전철연)이 망루 설치 방법을 알려주는 등 적극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 전철연으로의 검찰 수사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20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강로 3가 재개발 지역인 용산 4구역의 철거를 반대하며 농성을 벌이던 시위대가 화염병을 투척하는 등 과격 양상을 보이자 진압작전을 벌였고, 28명을 연행했다.

검찰은 이날 연행된 철거민으로부터 “용산지역 철거민들이 이달 초 인천 남구 도화동에서 전철연으로부터 망루 설치 방법 등을 전수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철연이 용산지역 철거민들에게 구체적인 투쟁 방법과 지침을 사전에 교육해 줬다는 것이다. 검찰은 또 전철연이 용산 철거민 지원에 나선 것도 지난해 1월부터였다는 진술도 함께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검찰 수사도 6명의 생명을 앗아간 화재 원인 규명 작업과 함께 전철연의 가담 경위 등에 대한 수사로 확대되고 있다. 검찰은 우선 화재 발생 경위와 경찰의 진압과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등을 중점 조사하고 있지만, 전철연이 적극 개입해 투쟁 방법 등을 지도했다는 진술이 확보된 만큼 전철연이 왜 개입했는지, 어떻게 관여했는지 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전철연이 개입했다는 정황이 있는 만큼 수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대검 공안부도 관련 회의를 열고, 용산 참사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검찰은 화재원인과 관련해서도 철거민들이 화염병을 던지는 과정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있다.

전철연은 1994년 전국빈민연합과 전국철거민협의회가 통합돼 만들어진 단체다. 현재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전국 70여개 지역 지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강령으로 ‘철거민의 생활권 보장’과 ‘토지투기억제와 영구임대주택 건립 부지 확보를 위한 국공유지 확대’ 등을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경찰의 과잉진압 논란이 불거진 상황에서 검찰과 경찰이 외부 개입 세력으로 지목한 전철연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진보적 시민단체들로부터 ‘본말이 전도됐다’는 편향 시비가 벌어질 공산도 있다.

장석범기자 bum@munhwa.com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