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국제

미·이 외교갈등까지… ‘시그널 스캔들’ 일파만파

민병기 기자
민병기 기자
  • 입력 2025-03-28 11:45
  • 수정 2025-03-28 15:54
댓글 폰트
■ ‘채팅방 기밀누출’ 파장 확산

불체자 추방 중단명령 내린 판사
채팅방 사건 맡아 “메시지 보존”
트럼프 “판사 배정 조작” 비판

이, 공습도운 요원 언급에 ‘불만’


워싱턴=민병기 특파원 mingming@munhwa.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외교 안보 라인 주요 인사들이 언론인이 포함된 민간 메신저 ‘시그널’ 채팅방을 통해 군사 기밀을 논의한 게 드러난 ‘시그널 스캔들’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관련 재판이 27일 시작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판사를 ‘저격’하며 행정부와 사법부 간 갈등 양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 공개된 채팅 내용에 이스라엘이 휴민트(인적 자산)를 통해 확보한 정보가 포함돼 이에 대해 이스라엘이 불만을 표시하는 등 외교 갈등 양상도 불거졌다.

정부 투명성을 감시하는 단체 ‘아메리칸 오버사이트’(American Oversight)가 ‘기밀 유출이 의심된다’며 제기한 소송의 첫 심리가 이날 워싱턴DC 연방지법에서 열렸다. 주심인 제임스 보스버그 판사는 사건과 관련 있는 트럼프 행정부 각료급 인사들에게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시그널에서 주고받은 메시지를 지우지 말고 보존할 것을 명령했다고 ABC뉴스 등 미국 언론이 보도했다. 보스버그 판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적성국 국민법’(AEA)을 적용해 베네수엘라 국적자 300여 명을 추방하는 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을 명령한 가처분 결정을 내려 트럼프 대통령이 판사를 탄핵해야 한다고까지 주장하며 반발했던 인물이다.



보스버그 판사가 주심을 맞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좌표 찍기’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보스버그 판사가 자신과 관련된 사건을 맡은 것이 이번이 4번째라면서 “통계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공화당원, 특히 ‘트럼프 공화당원’(트럼프 대통령을 열성적으로 지지하는 공화당원)이 그가 맡은 사건에서 승소할 길은 없다”며 판사 배정 시스템과 관련, “너무 늦기 전에, 조작된 (사법) 시스템에 대한 즉각적인 조사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맹국인 이스라엘과의 외교적 갈등도 벌어지고 있다. 공개된 채팅 내용 중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 공습의 표적이 된 핵심 후티군 요원의 신분을 언급한 데 대해 이스라엘이 불만을 표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예멘 내부의 휴민트를 통해 확보한 정보를 공유했는데 이 같은 내용이 공개됨으로써 자칫 휴민트가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당시 왈츠 보좌관은 “첫 번째 표적인 미사일 최고 책임자가 여자 친구 건물로 들어가는 모습이 찍혔고 그 건물은 무너졌다”고 썼다. WSJ는 공습 이틀 후 국방부 브리핑에서 ‘미사일 전문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며 왈츠 보좌관의 채팅 내용이 국방부 공식 발표에서 빠진 ‘은밀한’ 정보라는 취지로 보도했다.

파장이 갈수록 커지자 사건 조사 요구 목소리가 초당적으로 나오고 있다. 상원 군사위원회 위원장인 로저 위커 의원(공화·미시시피)과 잭 리드 상원의원(민주·로드아일랜드)은 국방부 감사 조직에 보낸 서한에서 이번 사태를 조사할 것을 요구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장성민 “민주당 내부서도 기각 기정 사실화…이유는 6가지”
장성민 “민주당 내부서도 기각 기정 사실화…이유는 6가지”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예정된 가운데 옛 민주당 출신이자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출신인 장성민 전 의원은 2일‘민주당내 비명계와 일부 친명계가 꼽은 각하 또는 기각 이유 6가지’라는 글을 통해 이같이 민주당 내 상황을 전했다.장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 쪽 내부 분위기는 상당수가 기각 또는 각하 쪽의 흐름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라며 “겉으로 강력한 탄핵을 주장하면서 헌재와 행정부를 동시에 압박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당내부에서는 이미 기각 또는 각하되는 것을 인지한 분위기가 역력하다”라고 주장했다.그는 “헌재와 국무내각을 탄핵하겠다고 협박한 것 자체가 위기의식의 발로”라면서 “민주당의 비명계 한 의원은 친명 중진들 일부도 이런 사정에 공감하고 있다면서 각하 또는 기각의 이유를 6가지로 꼽았다”라고 전했다.6가지 이유는 △탄핵소추 사유로 내란죄를 뺀 것이 치명적 실수였다는 ‘자책론’ △내란죄를 뺐으면서 속히 탄핵 재의결을 통해 절차적 정당성의 결정적 오류를 제거하지 않은 ‘오판론’ △마은혁 조기 투입의 실패와 문형배, 이미선에 대한 지나친 ‘과신론’ △서둘러 한덕수 권한대행을 탄핵한 전략적 ‘실수론’ △성급한 탄핵 진행으로 내란수사권 없는 공수처에 불법수사를 의뢰한 ‘불법재판론’ △박찬대 원내대표가 세 명의 헌법재판관을 을사오적으로 공격해 헌재 전체를 ‘적대화’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헌재에 대한 과도한 공격이 정치적 올바름(PC)과 어긋난다는 여론을 키웠고, 산불재난, 경제 비상시국에 또다시 한덕수 권한대행, 최상목 부총리를 동시 탄핵하겠다는 압박카드가 여론을 등지게 한 점 등이라는 당내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라고 덧붙였다.장 전 의원은 “결국 당 지도부가 이렇게 초조하고 다급한 입장을 보인 배경에는 당내 상당수 의원들도 각하 또는 기각일 것이라는 입장 때문”이라며 “이런 당내기류에 이 대표는 매우 초조하고 숨 가쁜 모습이다. 광화문 천막당사 최고위원회의에서 시정잡배들이나 할 법한 내란선동성 발언을 토하고 있다”라고 직격했다.그는 “국민은 지금 전과 4범 이재명의 초조한 ‘발악정치’를 관람 중”이라며 “이 대표가 지금 쳐야 할 천막당사는 내란탄핵을 위한 광화문 사거리가 아니라 모든 삶의 터전이 화마에 휩쓸려 검은 잿더미로 변해버린 산불재난 현장이 아닐까”라고 비꼬았다.김무연 기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