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뒤로가기
검색/메뉴
검색
메뉴
경제한-중동 ‘석유없는 미래’ 준비한다

대한민국이 ‘네옴시티 첨단 전자산업’ 주도한다

최준영 기자
최준영 기자
  • 입력 2024-02-02 11:57
  • 수정 2024-02-02 12:01
댓글 폰트

photo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LG전자-샤커 에어컨 생산 합작법인에서 직원이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LG전자 제공



■ 한-중동 ‘석유없는 미래’ 준비한다

LG전자, 사우디 메카에 첫 납품


리야드 =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한국 전자산업이 중동 현지에서 첨단 도시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한국 전자산업은 합작법인의 생산규모 확충을 통해 사우디의 숙원인 ‘메이드 인 사우디’ 시대를 현실화하는 경제 동맹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동의 가장 큰 시장인 사우디에서 ‘네옴시티 프로젝트’ 등 초대형 국가사업을 발판 삼아 가전제품을 넘어 정보기술( IT), 로봇 등 첨단 전자산업으로 영역을 넓혀갈 계획이다. LG전자는 이슬람권 ‘제1 성지’로 꼽히는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의 재개발 프로젝트에서 글로벌 냉·난방 공조업계 최초로 수백만 달러 규모 납품 계약을 성사시켰다. 앞으로 예정된 최대 7∼8배 이상 액수의 추가 수주 기회도 노리고 있다.

2일 전자업계 등에 따르면 사우디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메카에서 기존 텐트형 간이숙소를 철거하고 콘크리트 아파트형 건물을 짓는 재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LG전자는 현지에서 생산한 주력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멀티 브이’ 320만 달러(약 42억5600만 원)어치를 새 캠프에 납품하는 계약을 지난해 12월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LG전자는 2006년 사우디 가전 유통기업 샤커와 생산·판매 합작법인을 설립했는데, 이번 수주 과정에서 ‘메이드 인 사우디’ 제품을 생산한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기사를 친구들과 공유해 보세요.

관련기사
가장 많이 본 뉴스
안내 버튼

최근 12시간내
가장 많이 본 뉴스

문화일보 주요뉴스
<em class='label'>[속보]</em>트럼프 “中 보복관세 철회 않으면 50% 추가 관세…中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는 협상”
[속보]트럼프 “中 보복관세 철회 않으면 50% 추가 관세…中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는 협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보복관세 34%를 8일까지 철회하지 않는다면 9일부터 50%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 트럼프소셜에 올린 글에서 “중국은 이미 기록적 관세와 비통화 관세, 불법 보조금, 대규모 장기 통화 조작 에 더해 어제 34%의 보복관세를 부과했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그러면서 “어떤 나라든 미국에 대한 기존의 장기 관세를 넘어서는 보복 관세를 더한다면 더 높은 관세를 받게 될 것이라는 기존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따라서 중국이 내일까지 장기적인 무역 침해에 더한 추가 보복 관세 34%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4월 9일부터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 측에서 요청한 관련 회의들에 관한 모든 논의는 바로 종료된다”면서 “회의를 요청한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도입한 데 이어 지난 5일부터 전세계 대다수 교역 상대국에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를 부과했다. 아울러 미국은 오는 9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60여개 국가들에 대해서는 기본관세율(10%) 이상인 상호관세로 기본관세를 대체한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중국에 대해서는 34%, 일본에 대해서는 24%의 관세율이 각각 적용된다. 박세영 기
기사 댓글

ad
본문 글자 크기를 조절하세요!

※ 아래 글자 크기 예시문을 확인하세요.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본인에 알맞은 글자 크기를 설정하세요.

닫기
좋은 기사는 친구들과 공유하세요!
닫기